가치있는 산림자원 조성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MF)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 산림경영배양능력과 미래 다양한 산림수요 충족을 위한 SMF도입
- 도내 산림을 사회ㆍ생태ㆍ경제적 특성에 따라 구분 중점관리
- 산림의 다양한 가치제고를 위한 기능별 관리체계강화
- 산림의 품질향상을 위한 산림경영인증제 도입 운영
지역특색에 맞는 산림자원을 조성하겠습니다.
- 경제적 생태적 가치증진을 고려한 지속적인 조림확대
- 종자에서 수확까지 산림경영 시스템의 체계화
- 지구 온난화에 대비한 난대 수종 발굴 및 편백, 황칠나무 등 난대림 조성 확대
- 녹색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해변도로변, 지역 명품숲 조성
산림의 품질향상을 위한 숲가꾸기를 하겠습니다.
- 산림기능별 숲가꾸기를 추진 산림의 가치증진 및 품질제고
- 목제 경제적 가치제고를 위한 투자·관리의 차별화
- 산림기능별 숲가꾸기를 추진 산림의 가치증진 및 품질제고
- 목제 경제적 가치제고를 위한 투자ㆍ관리의 차별화
- 숲가꾸기 지역내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산림소득작물재배 지속 추진
- 산림자원화 지원단, 나무은행의 활성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탄소흡수원을 확충하겠습니다.
- 숲 가꾸기, 유휴토지 조림, 도시림 조성 등을 통해 탄수흡수원 확충
- 산림 바이오매스 활용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탄소배출저감
친환경 녹색 임도시설을 확충 및 관리를 하겠습니다.
- 산림경영·레포츠 등 환경친화형 다목적 녹색임도 시설확충
- 기존 임도의 제고를 위한 유지·관리체계 구축
국토의 균형적 산지관리 체계를 확립하겠습니다.
- 산림의 기능 및 이용목적에 따른 효율적인 산지구분체계 확립
- 산지구분 및 산지전용 허가제도 개편
- 산지보전과 개발이 조화되는 합리적인 산지이용 질서 확립
- 계획적인 산지관리를 위한 체계구축
- 산지이용구분도 DB구축 등 산지관리업무 정보화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
산림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생태계 건강성을 증진하겠습니다.
- 산림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을 체계적 보전 관리강화
- 치유숲, 수목원, 생태숲등 보전시설 확충을 통한 산림생물자원 보전기반 확충
- 산림보호구역지정, 관리 및 산림습원, 계곡천 보전관리강화
백두대간등 한반도 국토 생태축을 보전하겠습니다.
- 백두대간자원의 생태적 관리의 복원, 복구
- 백두대간 지속가능한 이용
- 백두대간 보호기반 구축
산림종합정보망을 구축하겠습니다.
- 디지털정보화를 통한 산림행정의 효율화,고객지원 극대화
- 산림지지정보의 고도화, 표준화, 정밀화 활용극대화추진
- 신뢰 높은 삼림통계체계를 정비 산림경영의 경쟁력 확보
과학적인 산불예방 및 대응체제를 구축하겠습니다.
- 과학적인 산불예방 및 초동진화체계 구축
- 산불진화자원(인력, 장비)확충 및 관리운영 시스템 개선
- 산불 피해시 신속한 장비 생태적 복구, 지원
산림병해충을 방제하겠습니다.
- 소나무재선충병 등 각종 산림병해충 공중ㆍ지상 현지예찰 강화로 조기발견 적기방제 체계 강화하고
- 지구온난화에 따른 신규 발생 병해충 초동 적극 대응
임업연구 활성화 및 추진역량을 강화하겠습니다.
- 현장과 수용자 중심의 R&D 인프라 구축 및 연구체계강화
- 지구온난화에 따른 산림생태계 변화 대응방안 연구
- 미래 산림가치 창출을 위한 임업연구 활성화
재해 대형화, 빈발화에 대응한 예방주의 사방사업 확대
- 산사태, 재해의 대형화, 빈발화에 대응 예방위주의 사방사업을 확대하고, 부족한 수자원 확보, 물놀이 시설 활용 등
- 주민 편익 위주의 환경친화적인 다기능적 사방사업추진
미래 친환경 산업으로서 목재산업을 육성하겠습니다.
- 미래친환경산업으로 목재산업 육성 국산재 이용 기술개발과 목재품 품질관리 강화 목재수급체계 개선 및 안정적인 공급기반 구축
산림병해충을 방제하겠습니다.
- 소나무재선충병 등 각종 산림병해충 공중ㆍ지상 현지예찰 강화로 조기발견 적기방제 체계 강화하고
- 지구온난화에 따른 신규 발생 병해충 초동 적극 대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촉진하겠습니다.
- 산림바이오에너지 공급으로 화석연료 대체효과 미래대체에너지로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및 조성 촉진 산림분야의 탄소흡수원 확보 및 임업부분 저감 활동 적극추진
산림소득원의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 황칠, 꾸지뽕 등 친환경임산물 생산의 단지화 규모화 현대화로 안정적인 기반조성 친환경임산물의 지역별 고유브랜드화 추진으로 경쟁력 도모 산지소득증대를 도모하기 위한 산림자원의 복합적 활용촉진 산지약용식물단지 육성 및 산업화추진
임산물 유통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 소비자와 생산자를 직접 연결하는 권역별 유통체계구축 산지저장시설확충 등 생산자 조직중심의 저장유통 체계 확립
사유림 경쟁력제고 및 전문 임업인을 육성하겠습니다.
- 독림가, 임업후계자등 핵심경영주체 육성 및 자립기반확충 산주의 안정적 소득이 보장되는 경영여건, 재해보험등 개선을 지속추진
도시녹색공간을 확충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겠습니다.
- 도심내 자투리 땅을 활용 생활주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숲조성 도심 내 숲과 외곽산림을 연결하는 녹색 네트워크 조성
가로경관을 조성하겠습니다.
- 권역별 특색있고 디자인을 고려한 가로경관조성 상록수 식재 확대로 남도이미지 부각 지역별 특성을 부각할 수 있는 특성화거리조성
국민의 수요에 맞춘 휴향 문화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특화된 자연휴향림조성, 운영 및 숲해설 등 프로그램 개발 보급 산림문화 교육진흥 활성화 도모
산악레포츠 및 등산서비스를 증진하겠습니다.
- 쾌적하고 안전하게 즐길수 있는 등산로 및 산악스포츠 환경정비 산림 내 시공된 임도 등의 시설을 활용한 산악레포츠 개발
다기능적 생활공간으로서 살기 좋은 산촌을 만들겠습니다.
- 생태산촌형, 산림소득형, 산림휴양형 등 유형별 특화된 산촌마을조성 도농 교류 프로그램 개발 및 산촌사업 사후관리강화 도시민 또는 은퇴자를 위한 귀농 여건 조성
산림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일자리도 확대하겠습니다.
- 건강, 웰빙 등 산림의 신수요를 정책에 적극반영 산림치유 기반확대로 국민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 도시숲 확대
- 해안숲 벨트
조성 및 복원 - 산림 휴양, 등산
서비스 확대 - 살기좋은
산촌마을
구분 | 2007년 | 2017년 |
---|---|---|
산림가치 | 7.6조원 | 21.8조원 |
도시숲조성 | 33개소 | 663개소 |
휴양림 | 10개소 | 21개소 |
가로수조성 | 4,172km | 8,613km |
임산물생산액 | 3,470억원 | 5,900억원 |
마을숲조성 | 10개소 | 594개소 |
산촌생태마을조성 | 16마을 | 49마을 |
임목축적 | 84㎥/ha | 137㎥/ha |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 산림자원과 061)-286-7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