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본통계

환경오염 배출업소

(단위 : 개소)

환경기본통계에 환경오염 배출업소를 안내하는 표
동부권(A) 전남(B) 비율(A/B)
대기ㆍ수질 오수 처리 가축ㆍ분뇨 비산 먼지 대기ㆍ수질 오수 처리 가축ㆍ분뇨 비산 먼지
47,021 1,642 40,361 3,477 1,541 86,956 4,734 62,886 15,776 3,570 54%

자연공원 현황

(단위 : ㎢, ´18. 6.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자연공원 현황을 안내하는 표
구 분 공원명 위 치 면적(전체) 공원지정일자
국립공원(6개소)
※전국 22개소
지리산 구례 101(483) 1967.12.29.
한려해상 여수 28(535) 1968.12.31.
내장산 장성 34(80) 1971.11.17.
다도해해상 여수 고흥 완도 진도 신안 2,266 1981.12.23.
월출산 강진, 영암 56 1988. 6.11.
무등산 화순, 담양 28(75) 2013. 3. 4.
도립공원(7개소)
※ 전국 30개소
조계산 순천 27 1979.12.26. (확대 2018.6.14)
두륜산 해남 33 1979.12.26. (확대 2018.6.14)
천관산 장흥 8 1998.10.13. (확대 2018.6.14)
무안갯벌 무안 37 2008. 6. 5.
신안갯벌 신안 162 2008. 6. 5. (확대 2018.2.8.)
벌교갯벌 보성 23 2016. 1.28.
불갑산 영광 7 2019. 1.10.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현황

(단위 : ㎢, ´20. 6.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현황을 안내하는 표
위 치 면 적 지정내역
육상 갯벌 해상
신안군 14개 읍면 전지역 3,238.74 668.31 352.5 2,217.93
순천시 24개 읍면동 1,876.8 938.4 910.4 28

* 전국 : 8개소(설악산, 제주도, 신안다도해, 광릉 숲, 전북 고창, 순천, 강원, 연천)

습지보호지역 현황

(단위 : ㎢, ´18. 6.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습지보호지역 현황을 안내하는 표
지 역 명 위 치 면 적 지정일자 유 형
담양 하천습지 담양군 대전면, 수북면 0.981 2004. 7. 8. 하천습지
신안 장도 산지습지 신안군 흑산면 0.090 2004. 8.31. 산지습지
순천 동천 하구습지 순천시 대대동, 해룡면, 별량면 5.394 2015. 12. 24. 하천습지
섬진강 침실습지 곡성군 곡성읍, 고달면, 오곡면 2,037 2016. 11. 7. 하천습지

* 연안습지(해양수산부) : 6개소 125.34㎢(무안 42, 증도 31.3, 순천만 28, 보성 벌교 10.3, 진도 1.44, 비금도초 12.3)

3대강 수질 현황

(단위 : mg/ℓ, ’20.12.31.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3대강 수질 현황을 안내하는 표
구 분 주암댐(COD) 장흥댐(COD) 수어댐(COD) 영산강(BOD) 섬진강(BOD) 탐진강(BOD)
담양 금월교 나주 나주교 구례 송정리 강진 석교교
2018년 평균 2등급(3.2) 2등급(3.7) 1등급(2.4) 1등급(1.6) 4등급(6.4) 1등급(0.9) 2등급(2.5)
2019년 평균 2등급(3.1) 2등급(3.2) 1등급(2.4) 1등급(1.7) 3등급(4.9) 1등급(0.8) 1등급(2.1)
2020년 평균 2등급(2.9) 2등급(3.2) 1등급(2.5) 1등급(1.6) 3등급(5.2) 1등급(0.8) 1등급(1.3)

*COD(호소수 환경기준) : 1등급(3이하), 2등급(4이하), 3등급(5이하), 4등급(8이하)

*BOD(하천수 환경기준) : 1등급(2이하), 2등급(3이하), 3등급(5이하), 4등급(8이하)

상수도 보급률

(단위 : 천명, %, ’20.12.31.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상수도 보급률을 안내하는 표
구 분 총 인구 급수 인구 보급률 1인당 급수량(ℓ/1일)
1,884 1,732 91.9 381.5
市단위 1,068 1,012 94.8 359.2
郡단위 816 720 88.1 412.8

* 급수량 : 급수인구에게 1일 평균 공급되는 량 (총 급수량 239,701천㎥/년)

하수도 보급률

(단위 : 천명, %, ’20.12.31.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하수도 보급률을 안내하는 표
구 분 총 인구 하수처리 인구 보급률
하수처리 폐수처리
1,884 1,559 1,523 36 82.7
市단위 1,068 994 992 2 93.1
郡단위 816 565 531 34 69.1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현황

(단위 : 개소, ’20.12.31.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현황을 안내하는 표
총계 매립시설 소각시설 고형연료 생산시설 생활자원 회수센터 음식물류 처리시설
164 62 54 3 34 11

* 22개 시·군에 시설별로 각각 1~2개소 설치 운영(도서지역 제외)

환경오염 배출시설 현황

(단위 : 개소, 2021.12.31.기준)

환경기본통계에 환경오염 배출시설 현황을 안내하는 표
구 분 대기 수질 공통(대기·수질)
4,729 1,685 2,170 874
162 50 2 110
시·군 4,567 1,635 2,168 764

악취 발생사업장 현황

(단위 : 개소, ′19. 1. 기준)

환경기본통계에 환경오염 배출시설 현황을 안내하는 표
구 분 축산시설 하·폐수 폐기물 도축·수산물 가공시설 사료 및 비료제조 조립금속 플라스틱 기타
시설 수 14,763 9,156 5,416 64 86 117 0